주요 장로교단 정기총회가 한국교회 역사상 처음으로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됐다. 코로나19 여파로 방역 차원에서 온라인 화상회의 방식이 도입됐다. 선거가 있는 교단의 경우 휴대전화를 이용한 문자 투표 방식이 시도된 경우도 있었다.
아주 새로운 시대를 경험하면서 많이들 당혹스러워 하고 있다. 교단의 현안을 돌아보고 미래를 위한 정책을 고민해야 할 교단 총회를 생각하면 안타까울 뿐이다.
방역 예방을 위해 출입기자들의 현장 취재를 제한하는 경우도 있었다. 직접 취재하는 것이 정석이지만, 방역을 위해 협력할 수밖에 없었다. 물론 현장 취재가 가능한 경우에도 제한된 조건에서 진행될 수밖에 없었다.
화면으로 회무를 진행할 수밖에 없는 총대들은 더 답답했을 것이라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익숙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 환경에 어수선하고, 거점 교회에서 모여 회무에 참여했다 하더라도 발언권을 얻기는 힘들었다.
각 교단들은 고심 끝에 온라인 총회를 선택할 수밖에 없었지만, 처음부터 예견했던 대로 내실 있는 회무는 힘들었다. 실제 총회 현장에서는 총대들의 숙원과 같았던 이슈들이 묻히는 경우도 있었다. 불만 섞인 목소리가 여기저기서 들려온다.
이제 각 교단의 정기총회 회무는 이제부터라는 생각이 든다. 교단 임원을 선출하고, 주요 부서 보고서를 받았다면, 총회 위임에 따라 후속조치들을 정말 잘해야 할 때가 온 것이다. 어쩔 수 없는 비대면 상황 속에서 교단 쟁점과 사업이 느슨해지지 않도록 고삐를 죄어야 한다.
코로나 총회 때문에 억울한 사람, 억울한 교회가 나오지 않아야 한다. 교단의 성숙을 위해 유야무야 넘어갔거나 혹은 누락된 쟁점들이 없는지 점검해야 한다. 환경 탓만 하고 아무 것도 하지 않는다면 교단의 미래는 없을 것이다. 매서운 겨울을 잘 이겨내면 봄이 더 따스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