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직한 미래를 비전으로 삼는 자는 오늘을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그리고 그 부족함에서 오는 느낌은 미래에 대한 소망을 지니게 한다. 그리고 그 소망은 오늘을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감사히 여기게 해준다.
부족한 게 없는 자가 갖는 바람은 욕심이다. 복음은 늘 부족함 가운데에서도 소망을 갖는 것인데 그 부족함이 물질이면 기복신앙이 된다.
언더우드와 아펜젤러는 그 당시 조선사회의 심각한 부족함을 보았다. 하지만 그것은 그들이 못 먹고 못 입는 것에 대한 물질적인 동정심이 아니라 그들이 갖는 영적 결핍에 대한 안타까움이었다.
언더우드는 “서기 2000년이 오면 땅 끝까지 이르러 복음이 전파되고 온 세상이 기독교화 될 것”이라는 낙관론을 가지고 있었던 사람이다. 그래서 그는 미래에 기독교화 된 세계 커뮤니티 속에서 능동적으로 선 크리스천 코리아를 꿈꾸고 준비하고자 했던 것이다. 한 손은 중국에, 한 손은 일본으로 뻗어 한중일 3국에 기독교권을 형성해 하나님을 찬양하자는 비전을 제시했다.
그는 장기적인 안목 (long-term vision)에서 선교를 계획했다. 그의 선교 계획은 당장 주어진 시급한 상황의 해결이나 조속한 시일 내에 얻어질 열매만을 생각한 것이 아니라 먼 훗날을 내다보고 계획한 것이었기에 백 여년이 지난 오늘에 와서야 더욱 더 그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고, 그가 왜 같은 교단 내의 동료 선교사들로부터 조차 극심하고도 견딜 수 없는 반대에 부딪혀가면서도 YMCA나 일반대학의 설립 등을 고집했는지를 이해하게 되는 것이다.
실로 그의 선교사로서의 비전은 진정한 의미에서의 바람직한 토착화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기독교한국’ 이었다. 그리고 그러한 비전은 초 교파적인 협조를 바탕으로 하지 않고는 불가능했다는 것이다. 단일 교파가 들어와서 그 교파의 구조적, 정신적인, 종교 식민지가 되는 것도 바람직한 것은 아니지만 다양한 교파들의 분분한 신학노선과 선교 정책들이 난무하면 거기엔 혼돈이 뒤따르게 마련이다.
그러므로 궁극적으로 진정한 하나가 되는 것은 다양함이라는 과정을 통해 숙성되는 여럿으로서의 하나이어야 하는 것이다.
조선에서 천국으로 향했던 아펜젤러와는 달리 언더우드의 조선에 묻히겠다던 꿈은 많은 세월이 걸려서야 가능할 수 있었다. 반대와 압박에 지친 몸으로 평생을 몸담았던 선교지 조선을 뒤로하고 멀리 뉴저지 아틀랜틱 시티로 가서 투병하던 그가 죽던 날 밤, 꺼져가는 목소리로 마지막 남긴 말은, “내가, 내가, 거기까지 갈 수 있을 것 같아…” (I think, I think, I could travel that far).
옆에 있던 아내가 귓속말로, “어디요, 여보, 코리아?” (Where, dear, Korea?) 하자 이내 그의 얼굴이 환해지며 고개를 끄덕였다고 한다. 죽는 순간까지 조선을 사랑하고 연민했던 그의 유언은 거의 한 세기가 지난 1999년, 자신의 고향 교회인 그로브교회 가족묘지로부터 자신의 아내와 아들, 며느리, 손주 며느리가 먼저 누운 양화진으로 이송되어 조선의 품에 안겼다. 오늘도 양화진 앞을 오고 가는 크리스천 심령, 심령마다 거기서 울려 나오는 그 옛날 우리를 사랑해서 이 땅에 왔고 이땅에 묻힌 선교사들이 서로 나누는 다정한 속삭임들을 듣는다. 너는 어디서 왔냐고, 너는 어느 교파에 속했느냐고, 하지만 우리 모두 크리스천 코리아라는 꿈을 위해 하나가 되자고….
김진홍 교수/미국 뉴브런스윅신학교
저작권자 © 아이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