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이 자신을 “아버지”로만 계시하신 이유는 초월성 때문
상태바
하나님이 자신을 “아버지”로만 계시하신 이유는 초월성 때문
  • 박찬호 교수(백석대 조직신학)
  • 승인 2024.07.03 16: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찬호 교수의 목회현장에 꼭 필요한 조직신학 _ 63) 여성 신학 비판
박찬호 목사
박찬호 목사

저명한 구약신학자인 엘리자베스 아흐테마이어(Elizabeth Achtemeier)는 여성신학에서 하나님을 God/dess라 부르며 이 세계와 동일시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여성신학을 기독교와는 다른 또 하나의 종교가 되게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 자신이 여자 목사요 여자 신학자임에도 구약 성경에 근거하여 여성 신학의 입장을 반박하고 있기에 그의 반론은 상당한 설득력을 가지고 있다. 한마디로 하나님을 어머니로 부르게 되면 하나님을 ‘신 아닌 것’(no gods, 렘 2:11)으로 바꾸게 된다는 것이다.

하나님을 꼭 아버지라고만 불러야 되느냐, 하나님을 어머니라 불러도 문제될 것이 없다는 여성 신학자들의 주장은 신학에서 사용되는 언어가 과연 어떤 성격을 지니는지에 대한 토론을 유발시켰다. 분명한 것은 “하나님 아버지”라는 표현이 하나님께서 남성임을 지시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무언가 ‘아버지’라는 표현을 통해 하나님의 그 어떠한 면을 표현하기를 또는 계시하기를 하나님이 원하셔서 이런 남성적인 언어를 성경의 저자들은 선택하고 있는 것이다.

여성 신학자들은 인간 존재에 대한 교회의 언어가 여성을 배제하는 언어였음을 주장하며 여성을 포함하는 언어(inclusive language)의 사용을 제안하고 있다. 왜냐하면 남성이 더 이상 인간 존재를 대표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흐테마이어는 하나님에 대한 언어에 있어서만큼은 성경적인 표현을 고수해야함을 주장하고 있다.

여성 신학자들은 하나님의 불가해성과 인간의 언어가 지니는 불완전함 또는 한계를 인정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하나님을 어머니라고 불러도 된다는 추론이 가능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에 대해 아흐테마이어를 비롯한 여성 신학의 비판자들은 하나님은 비록 남자가 아니지만 하나님 아버지라는 표현을 계시의 방편으로 선택하신 하나님의 의도가 있음을 놓쳐서는 안된다고 주장한다.

성경에는 하나님에 대한 여러 유비가 등장한다. 바위라든가 산성(山城) 등과 같은 하나님에 대한 유비는 비인격적인 유비라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성경이 아버지를 비롯한 인격적인 유비를 하나님에 대해 사용하는 이유는 우리 인간 피조물과 인격적인 관계 맺기를 원하시는 하나님의 목적이 거기에 있으며 그런 유비를 통해 하나님은 우리에게 어떤 윤리적 요구를 포함한 순종과 헌신을 요청하신다.

성경이 하나님에 대한 인격적인 유비 중에서도 남성적인 유비를 사용하는 이유에 대해 아흐테마이어는 그런 유비를 통해 성경은 ‘전적 타자’로서의 하나님의 초월성을 표현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스라엘을 제외한 고대 중근동 국가들의 신은 모두 남신과 여신이 짝을 이루고 있지만(예컨대 성경에 나오는 가나안의 신들인 바알과 아세라가 대표적이다) 성경에 계시된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는 그런 점에서 매우 독특하다. 하나님은 자신을 ‘아버지’로만 계시하신다. 그 이유는 하나님의 초월성 때문이다.

하나님을 어머니라고 부르게 되면 이런 하나님의 초월성이 타협되어 결과적으로는 내재적인 신관이 생겨나게 되는데 이런 신관에서는 우리 모두가 신이 되고 만다. 우리 위에 계신 하나님을 인정하는 것이 억압을 가져오기에 우리 위에 초월하시는 하나님을 부정하고 만들어낸 신은 성경에 계시된 하나님과는 다른 하나님이다. 그런 의미에서 아흐테마이어는 하나님을 어머니라고 부르자는 여성 신학의 주장을 창세기 3장에 나오는 주된 죄 즉 배교에 비견하고 있다. “만일 하나님을 그 피조물과 동일시하게 되면, 우리는 결국에는 우리자신을 신 또는 여신들로 만들게 된다. 이는 창세기 3장과 그 외의 성경에서 궁극적이고 주된 죄(the ultimate and primeval sin)이다.”

여성 신학의 주장을 따라가서 우리가 가지게 되는 신은 아흐테마이어가 보기에 유한한 신이다. 전능하신 분(the Power)이라기보다는 능력 있는 존재(a power)에 불과하다. 이런 신은 여성 차별을 포함한 악에 대한 궁극적인 승리를 담보하지 못하는 유한한 신이다. 그렇게 되면 여성의 해방을 위하여 하나님의 이름을 바꾸어 부르자고 하는 여성 신학자들의 주장이 역설적으로 여성의 차별을 포함한 악에 대한 하나님의 최종적인 승리를 보장하지 못하는 결과로 이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아흐테마이어는 자신으로서는 하나님 아버지를 이런 신으로 바꾸어야할 하등의 이유를 발견할 수 없음을 천명하고 있다.

성경의 하나님에 대한 우리의 고백 중에 하나는 하나님께서 악에 대하여 최종적으로 승리하실 분이라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 본다면 여성 신학의 ‘하나님 어머니’는 사도신경에서 고백하는 전능하신 창조주 하나님에게 많이 미치지 못하는 하나님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